본문 바로가기

궁합

4.홍염살과 궁합 (나- 병인홍염살)

728x90
320x100

병인홍염살의 발생

1. 우선 살펴볼 것은 갑오일주와 마찬가지로 화의 과다로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병인 일주는 상당히 뜨거운 사주인데수기운의 적절한 컨트롤이 없다면 어려운 사주가 될 겁니다.

사주에 화가 많으면 매우 정열적이고 화려함을 추구합니다. 또한 자신을 꾸미기를 좋아해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해 자신을 표현하기 때문에 예술적 기질과 감각을 지닌 사람이 됩니다. 예술적 기질은 끼워도 연결이 됩니다.

사주에 수가 없어 조열한사주는 시원한 음기를 찾아 헤매다 자신의 열기를 식혀줄 이성을 찾아다니게 됩니다.(성적인 음탕함도 보이게 되는 이유가 됩니다).

다행히 배우자나 커플이 수기운이 많은 사주면 참으로 다행이지만 목화의 기운을 가진 사주를 만난 병인 일주는 집에 일직 들어오지 않습니다. 집안에 있으면 답답해서 있지를 못하는 겁니다. 무슨 핑계를 대더라도 늦게 들어오고 들어오더러도 다른 방에서 따로 생활하려 합니다.

2. 또한 배우자궁의 자리에 편인 인목이 들어 인목은 어머니 기운이 됩니다.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는 것처럼 사랑하는 아내나 남편이 아니라 어머니가 자식을 대하는 배우자를 둔 경우가 됩니다. 이경우 자신의 사랑을 찾아 헤매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어요.

3. 다음으로 홍염살은 명리 이론인 12운성법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일간 병화의 배우자인 재성을 살피는데 천간에 庚과 辛이 재성으로 배우자운이 됩니다. 庚에서 배우자궁의 인목이 절지(이별 소멸의 상징 좌절 정체를 뜻함)에 놓여있다고 보아 어려운 운이라고 본다고 합니다. 큰 의미를 두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다음으로 辛 금은 재성(배우자 운)으로 병화 일간과 합을 하여 오행이 바뀌는 구조라 이는 타앙 해 보입니다. 병신합을 하면 수로 오행이 변해 없어지므로 남자의 사주에서 배우자운이 안 좋은 경우 중에 재성(배우자 운)이 다른 오행과 합을 하여 오행의 성질이 바뀔 경우에 실제 삶에서도 부인과의 이별수를 높게 봅니다.

丙 辛

4. 12운성법에서 따져보면 여성의 경우 남편 자리인 관성이 壬 수나 癸 수가 되는데 임수에서 배우자 궁인 인목은 병운(쇠약 손실 )이 되어 어려운 운이 되나 큰 의미를 두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계수는 병화가 꺼리는 천간이 됩니다. 계수는 이슬비나 구름을 의하기도 하는데 태양을 가리는 구름으로 보아 어려운 운이기는 하나 오히려 뜨거운 열기를 식히는 임수나 계수는 좋은 운이 될 거라 보여 병인 일주에서는 여성사 주 쪽보다는 남자 사주의 바람을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화기 충만으로 인한 어려움을 잘 다스리면 될 것 같습니다.

5. 병인 일주에 유명한 사람 중에 아돌프 히틀러가 있습니다. 젊은 여자를 좋아했고 성욕을 채우기 위해 여러 정부를 두었다고 합니다. 병인 일주에 두 기운이 없으며 부인의 기운인 辛 금이 축 지장간에 있는 구조라 병신 함수로 배우 자궁이 어려워지는 구조가 됩니다. 오랜 정부인 에바 브라운의 일생도 비극으로 끝난 걸 보면 배우자운은 좋지 않았다고 보입니다. 사주 구성이 화와 토가 많아 맹렬히 살아간 것이 사주 구성 때문일까요?

甲 丙 戊 己

午 寅 辰 丑

728x90
728x90